테슬라 모델 Y, New Model Y가 출시됐다. 모두가 예상한대로 RWD(후륜구동)는 5,299만원이다. 평소 출퇴근 거리가 30km 이하이며 주말에 장거리 운전이 덜하다면 RWD 모델이 가장 제격이다. RWD 모델은 정부 보조금을 100% 받을 수 있는데, 테슬라에서도 보조금을 받기 위해 일부러 5,299만원으로 책정한 것이다.
주말에 조금이라도 멀리나가는 일이 있다면 Long Range AWD 모델 6,314만원짜리를 구매하는 것을 추천한다. RWD와 비교하면 제로백이 1초 이상 차이나는데, 1초가 생각보다 크다. 테슬라 오너들 사이에서 롱롱익선이라는 말이 괜히 나오는게 아닌데, 제로백은 물론 주행거리도 70km 여유가 있고, 추후 빗길이나 눈길 운전에 조금 유리한 AWD가 다방면에서 좋다.
이번 뉴 모델에선 퍼포먼스는 없다. Lunch버전은 롱레인지와 비교하면 0.5초 빠르다. 사실 그돈씨 말이 나올 정도로 런치 에디션은 굳이 구매하지 않아도 된다.
Tesla New Model Y 3종 비교
출퇴근용 = RWD
장거리 여행 = Long Range AWD
돈이 많다 = 런치 (비추천)
- RWD:
- 배터리: 스탠다드 레인지
- 구동 방식: 후륜구동
- 0-100 km/h 가속 시간: 약 6.9초
- 휠 옵션: 19인치 또는 20인치
- 최저 지상고: 172mm
- 전장: 4,750mm, 전폭: 1,980mm (접이식 미러 기준), 전고: 1,625mm
- 적재공간: 2,158L
- 디스플레이: 15인치 중앙 터치스크린
- 수퍼차저 충전 최대: 170kW
- 제품 보증: 기본 차량 4년 또는 80,000 km, 배터리 및 구동 장치 8년 또는 160,000 km 중 먼저 도래하는 시점
- Long Range AWD:
- 배터리: 롱 레인지
- 구동 방식: 듀얼 모터 상시 사륜구동
- 0-100 km/h 가속 시간: 약 5.0초
- 휠 옵션: 19인치 또는 20인치
- 최저 지상고: 172mm
- 전장: 4,750mm, 전폭: 1,980mm (접이식 미러 기준), 전고: 1,625mm
- 적재공간: 2,158L
- 디스플레이: 15인치 중앙 터치스크린
- 수퍼차저 충전 최대: 250kW
- 제품 보증: 기본 차량 4년 또는 80,000 km, 배터리 및 구동 장치 8년 또는 192,000 km 중 먼저 도래하는 시점
- Launch Series:
- 부분 변경을 기념한 한정판 모델로, 고성능 주행 성능과 전용 디테일이 적용되었습니다.
- 탑승 시 센터 디스플레이에 전용 웰컴 애니메이션이 재생됩니다.
- 전용 퍼들 램프와 도어실, 콘솔 등에 전용 워드마크가 적용되어 특별한 감성을 제공합니다.
RWD와 AWD의 배터리 업체는 다르다. RWD가 조금 안전한 정도
상세 보고서
테슬라 모델 Y의 RWD(후륜구동)와 AWD(사륜구동) 버전의 배터리 공급업체를 조사한 결과, 여러 요인(예: 지역, 모델 변형, 생산 공장)이 배터리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래에서는 상세한 분석과 관련 정보를 제공합니다.
배터리 공급업체 분석
테슬라 모델 Y의 배터리 공급업체는 주로 CATL, BYD, 파나소닉, LG, 그리고 테슬라 자체 생산 4680 셀을 포함합니다. 그러나 RWD와 AWD 간 차이는 명확히 구분됩니다.
- RWD(후륜구동) 배터리 공급업체:
RWD 모델은 주로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사용하며, 공급업체로는 CATL과 BYD가 언급됩니다. EV Database Tesla Model Y Specifications에서는 RWD 변형(Y6LR)에 CATL LFP60 배터리가 사용된다고 명시하며, 용량은 약 60kWh로 추정됩니다. 반면, electrive.com Tesla Model Y with BYD Battery에서는 BYD LFP 배터리가 RWD에 사용된다고 언급합니다. 이는 지역(예: 유럽, 중국) 또는 생산 시기에 따라 공급업체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현재 자료를 종합하면, CATL이 더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글로벌 시장에서 RWD 모델에 선호됩니다. - AWD(사륜구동) 배터리 공급업체:
AWD 모델, 특히 롱 레인지 및 퍼포먼스 변형은 테슬라의 4680 배터리 셀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Electrek Tesla Model Y with 4680 Cells에 따르면, 기가팩토리 텍사스에서 생산되는 AWD 모델은 4680 셀을 사용하며, 이는 테슬라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대형 원통형 셀입니다. 또한, notateslaapp.com Tesla Battery Supplier Options에서는 롱 레인지 AWD 모델이 파나소닉 또는 LG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고 언급하며, 이는 북미 세금 공제 자격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AWD의 경우, 지역과 세금 혜택에 따라 공급업체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예: 북미에서는 파나소닉, 글로벌에서는 4680 셀).
지역 및 생산 공장에 따른 차이
배터리 공급업체는 생산 공장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기가팩토리 상하이(중국): 주로 CATL 및 BYD LFP 배터리가 사용되며, RWD 모델에 적합합니다.
- 기가팩토리 텍사스(미국): 4680 셀을 기반으로 한 구조적 배터리 팩이 AWD 모델에 사용됩니다. Electrek Gigafactory Texas Model Y에 따르면, 이는 제조 혁신으로 간주됩니다.
- 기가프리몬트 및 기가베를린: 초기 모델은 파나소닉 배터리가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지역 공급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notateslaapp.com의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시장에서는 세금 공제 자격에 따라 배터리 공급업체가 나뉩니다. 예를 들어, 세금 공제 자격이 있는 모델은 북미에서 제조된 배터리(파나소닉, LG)를 사용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CATL 또는 BYD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RWD 모델의 경우 특히 중요하며, LFP 배터리의 공급업체 논란(CATL vs. BYD)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 화학 및 성능 차이
배터리 화학은 RWD와 AWD 간 성능 차이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RWD (LFP, CATL/BYD): LFP 배터리는 열 안정성이 높고, 충전 주기 안정성이 뛰어나지만, 에너지 밀도가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기반 배터리보다 낮습니다. 이는 주행 거리가 짧을 수 있음을 의미하며, electrive.com LFP Battery Advantages에 따르면, 실생활 주행 거리에서 유리할 수 있습니다.
- AWD (4680, 테슬라/파나소닉/LG): 4680 셀은 NCA 화학을 기반으로 하며, 높은 에너지 밀도로 인해 롱 레인지 및 퍼포먼스 모델에 적합합니다. Electrek 4680 Cell Development에 따르면, 파나소닉과의 협력을 통해 생산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표: 모델 Y 배터리 공급업체 요약
RWD | CATL (주로) | LFP | 60 | 상하이, 유럽 |
AWD (롱 레인지) | 테슬라 4680, 파나소닉/LG | NCA | 75-78 | 텍사스, 북미 |
AWD (퍼포먼스) | 테슬라 4680 | NCA | 78 | 텍사스 |
참고: 용량 및 공급업체는 지역 및 생산 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논란 및 불확실성
RWD 모델의 배터리 공급업체(CATL vs. BYD)에 대한 논란은 지역 및 생산 공장에 따라 발생합니다. EV Database와 electrive.com의 상충되는 정보는 유럽 및 중국 시장에서 공급업체가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하며, 현재 자료를 종합하면 CATL이 더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AWD 모델의 경우, 테슬라 4680 셀의 생산 확대와 기존 공급업체(파나소닉, LG) 간 경쟁도 복잡성을 더합니다.
결론
종합적으로, 테슬라 모델 Y RWD는 CATL LFP 배터리를, AWD는 테슬라 4680 셀(북미) 또는 파나소닉/LG(세금 공제 자격에 따라)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2025년 4월 기준으로 조사된 결과이며, 향후 생산 전략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옵션 선택 고민? 테슬라 오너가 알려드립니다
외장색은 스틸 그레이, 펄 화이트 멀티코드, 글레이셔 블루, 울트라 레드, 퀵실버 총 5가지를 고를 수 있다. 이번 모델부터는 기본 색상이 스틸 그레이라서 펄 화이트를 원하는 오너에겐 조금 아쉬울 수 있다. 펄 화이트는 공식적으로 멀티코트라고 강조한만큼 페인트의 질은 훌륭하다.
색상은 결국 오너의 취향이다. 딥블루가 사라진 점이 아쉽지만, 새롭게 나온 글레이셔 블루도 나름 좋은 색상에 포함된다. 퀵실버도 이쁘지만 렉서스의 은색이 연상되어 오너들 사이에선 은갈치 색상으로 평가된다. 사람의 인식은 어쩔 수 없으니 흰색과 글레이셔 블루, 울트라 레드가 가장 베스트다.
휠 사이즈도 고민일 것이다. 19인치 크로스플로우 휠과 20인치 헬릭스 2.0 휠이 존재한다. 바퀴는 인치가 높아질수록 주행의 안정감이 상승하지만, 노면의 충격을 그대로 인식하여 승차감은 별로다. 특히 전비(가솔린차는 연비, 전기차는 전비로 칭함)가 떨어지는 단점은 물론이며, 타이어가 커질수록 추후 교체되는 타이어 비용도 증가한다.
모델 Y 타이어는 19인치를 추천한다. 모델 X도 아니고 Y가 20인치를 선택하는건 사치다. 런치 옵션으로 선택하면 20인치밖에 없다보니 롱레인지 버전으로 구매하는게 좋다. 20인치 구매했다면 추후 타이어 교체에 고생도하고, 전비도 떨어지며 승차감도 안좋은 상태로 운전하는 것이다.
실내 인테리어는 취향차이다. 그래도 이쁜건 블랙 & 화이트 옵션이다. 시트가 화이트라서 이염이 심하다 뭐니 우려가 있지만, 그렇게 이염이 심해지지 않는다. 집에서 화이트 우드 인테리어는 잘만하는데 왜 차량은 화이트를 안할까? 검은색 시트의 특유 광난 찌든때가 관리하기 어려운 것도 생각하자. 블로그 주인장은 화이트 인테리어를 선택했고, 다음 차량도 화이트로 고를 예정이다.
FSD, EAP 이거 사야해요? 차량 출고 후 결정
풀 셀프 드라이빙은 FSD, 향상된 오토파일럿은 EAP로 칭한다. 해당 옵션은 차를 출고한 이후에도 구매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언락을 없애는 방식으로 활성화하는 것. 900만원과 450만원 옵션을 추가하고 차를 구매했다면, 추후 차량 취득세에서 세금이 부과되어 쓸데없는 돈을 지불하는 것이다. 그래서 차량을 받고 난 후에 옵션을 구매하는게 좋다.
FSD와 EAP의 차이는 국내 기준으로 없다. 북미와 중국에선 FSD가 있어야만 자동 주행이 가능한데, 한국에선 아직 승인 대기 중이다. 현토부가 27년에 현기차 자율 주행을 승인한다고 뉴스가 떠서 27년까지는 기다릴 수 있지만, 루머에 따르면 올해 FSD를 즐길 수 있다는 소식이 있어 기대해도 좋다.
FSD와 EAP가 국내에서 적용되는 옵션은 ASS, 오토파일럿 중 차선 변경이 전부다. 북미에선 FSD가 출시 된 이후 FSD 구독제도 등장했지만, 반대로 FSD 금액을 2배 이상 증가한 사례도 있다. 그래도 미리 구매하는 것보단 구독제가 나올때까지 기다리거나 EAP만 구매하는 것이 좋다.
추천 프로그램 (할인)
- 구매자: 33만 원 할인
- 추천인: 16.5만 원 Tesla 크레딧 (수퍼차저,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Tesla Shop, 서비스센터 등에서 사용 가능)
- 1년에 최대 10회*
- New Model Y는 추천 프로그램 중 추천인 혜택만 적용되며, 구매자/로열티 혜택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 동일한 추천 링크로 이미10명의 구매자가 차량 할인 혜택을 받으면, 그 이후로는 해당 추천 링크를 통한 구매자 할인 혜택과 추천인 혜택이 모두 제공되지 않습니다. 매년 1월 1일에 추천 가능 횟수가 갱신됩니다.
로열티 프로그램
- 기존 오너가 Tesla 차량 재주문 시 66만 원 할인
- 평생 최대 10회
가족 또는 지인에게 Tesla를 추천하고 구매자와 추천인 모두 풍성한 혜택 받으세요!
*Tesla 추천 프로그램은 예고없이 변경 또는 종료될 수 있습니다.
*추천 프로그램은 Tesla 앱 버전 4.36.1 이상에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tesla.com/ko_kr/referral/raysera475878
현구 님의 추천을 통해 Tesla 제품 주문하기
현구님이 ₩330,000의 Tesla 신차 할인 혜택을 선물했습니다 인벤토리 살펴보기
www.tesla.com
'일상 이야기 > 테슬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8.7 릴리즈 노트 변경점, 슈차정보 표기 (0) | 2025.04.30 |
---|---|
테슬라의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 (0) | 2025.04.23 |
테슬라 크레딧을 사용해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1) | 2025.03.24 |
2025.2.8 테슬라 릴리즈노트 (0) | 2025.03.06 |
테슬라 최신 동향, 25년 2월 24일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