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이야기/IT

아마존의 한국어화, 한국 시장도 정식 서비스?

by Evernight 2019. 3. 27.

 

세계 최대의 온라인 쇼핑 중개 사이트 아마존(www.amazon.com)이 한국어 서비스를 시작하고 있다. 정식 발표가 나진 않았어도, 한국 시장을 겨냥하기 위해 오래전부터 준비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미 아마존 글로버셀링 사이트를 통해 예비/초보 셀러들을 끌어모으고 있고, 한국 시장을 제대로 공략하기 위해 아마존 사이트도 한국어로 작업이 거의 다 된 상태다.

 

아마존 사이트에 친숙한 한국어가?
번역기체 느낌이 들지만 충분하다.
로그인부터 주문까지 쉽게 이용하도록 유도

 

이미지를 통해 볼 수 있듯이 아마존 사이트는 한국어화가 제대로 적용 되어서 쇼핑에 큰 어려움은 없다. 간편하고 쉽게 물품을 구매하고 싶었지만, 언어의 장벽으로 인해 이용하지 못했거나 구매 시 오류가 발생하여 배송물품 처리를 제대로 하고 싶어도 영어때문에 힘들었던 사용자들은 이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아마존이 이렇게 움직이니 쿠팡, 옥션, 위메프, 11번가, 옥션, G마켓 등 국내에서 활동하는 여러 중개 사이트는 위협을 느낄 수 밖에 없다. 사이트가 너무 많고, 원하는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 여기저기 회원가입해야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이다. SNS 계정 로그인을 통해 최근에는 그 불편함이 해소되었지만, 있는 물품 없고, 없는 물품도 제대로 찾기 힘든 아쉬움도 남아 있기 때문이다.

 

아마존을 통해 구매하면 평소 구하기 어려운 물품도 구하기 쉽다. 전세계적으로 활용되는 사이트인 만큼 물품 구하는건 식은 죽 먹기 때문. 하지만 한국 정식 서비스가 도입되지 않았기에 대부분의 물품은 해외에 있어 배송이 늦는 단점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한국어 서비스를 적용하면서 정식 서비스도 같이 이어진다면, 많은 이용자들이 몰릴 것으로 여겨진다. 물론 국내 중개 사이트도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다. 여러가지 이벤트를 진행해 기존 사용자들을 잡을 것으로 보이지만, 대형 시장 앞에서는 오래 버티질 못할 것이다. 물론 아마존이 삽질하거나 실수를 연발하면 정착하긴 어려울 것이다.

 

해외에서 잘 통용되는 아마존이 국내에 제대로 서비스하면 어떻게 될까? 많은 이들은 쇼핑이 더 편해질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지금 쇼핑몰은 주문을 받으면 업체에서 물건을 보내주니 cs도 업체를 통해 해야하고 번거로운 점이 많다. 그러나 아마존은 이미 물건이 확보된 상태에서 주문을 받으므로 cs를 업체가 아닌 아마존에서 처리 가능하고, 싼 가격에 물건이 풀릴 수 있다. 물론 해외에서 이렇게 운영하지만 국내에서도 똑같이 운영할지는 아직은 미지수다.

 

물론 헬조선화, 헬적화의 우려는 남아있다. 외국 기업도 한국에 들어오는 순간 창렬의 맛을 잊지 못하고 그대로 따라간다는 이야기다. 이베이가 운영하는 옥션이나 지마켓, G9가 대표적인데, 아마존이 들어와서 이들과 경쟁구도를 만들어낼지 아니면 같이 창렬화가 될지는 그 누구도 모른다.

 

삼성 페이, 네이버 페이, 카카오 페이 등 간소화된 결제 시스템이 서서히 자리잡고 있어 아마존의 간편한 결제 시스템이 먹히는 전략은 기대하기 힘들지만, 물품을 쉽고 빠르게 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아마존에게 힘을 싣고 있다.

 

안심하고 아마존에서 쇼핑할 수 있다

반응형